(주)루미온코리아 블로그
루미온이 Cloud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25년 루미온이 '님블러'를 인수하였으며, 이 님블러 기능이 루미온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됩니다. 기존 루미온 고객에게는 무료로 제공됩니다. 님블러는 개방형 피드백 플랫폼으로 고객(client), 관리자(Manager), 협력업체(Partners)로 부터 정확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합니다. 정확한 의사소통과 기록을 통해, 렌더링 시안 확정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더이상 고객, 관리자, 협력업체로부터 디자인 확정에 대한 혼선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
Lumion 개발사인 ACT-3D는 덴마크의 오픈형 피드백 플랫폼을 운영하는 Niimblr 인수를 완료하였습니다. Niimblr은 온라인 기반 창작자와 클라이언트간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제 Lumion의 일부로 운영되며, Lumion Cloud 기능을 확장 시키는 업무를 담당하게 될 듯 합니다. 이미 수천명의 사용자가 Niimblr를 사용해 왔으며, 기존 서비스는 유지됩니다.
이로써,루미온 사용자는 스케치 단계에서 계약 완성까...
최근 루미온과 유사한 제품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스튜디오에서는 '루미온'을 메인 렌더링 제품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이유를 알아 보겠습니다.
1, 루미온의 효과 기능 때문입니다.
다른 저가형 제품들은 기본 모델링 과정에 보이는 화면의 품질을 최종 품질로 렌더링 합니다. 일종의 필터 기능이 존재하는데. 이는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의 보정효과 기능으로, 원본 품질을 떨어뜨려 원하는 이미지를 렌더링 합니다. 그래서, 렌더링 결과물에 뭔가...
루미온(Lumion)이 1.0 방식부터 제공하던 라이센스 방식을 확장합니다. 2025년 4월28일 계약까지는 모두 Floating방식으로 제공되었으며, 2025년 4월 29일 계약자 부터는 Named User 방식과, Floating방식 중 선택적으로 제공합니다.
Named User방식 -계약자가 사용자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루미온 사용시, 로그인 해야 합니다.(최초 계약자 변경 불가능) - 소규모 스튜디오에 추천방식
Floating 방식- 지정된 활성코드 사용으로 여러개의 PC에 설치하고, 구매 수량 만큼 동시 사...
루미온 2023부터 제공되는 Raytracing(레이 트레이싱)은 매우 뛰어난 렌더링 결과물을 가져온다. 하지만, 이 새로운 렌더링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면, 루미온 2023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
루미온 이전 버전인 12버전 까지 많은 사용자들이 Realsky(리얼스카이) 기능을 활용하였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복잡한 조명 배치를 진행하지 않아도 멋진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 기능은 일종의 HDRI 이미지를 환경맵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특히 창문이 있는 인테리어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이 ...
빛은 입자일 수도 있고, 선(!)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정확히는 모르지만, 입자라고 생각하고, 계산하는 방식이 Raytracing기술이다. 입자라면 그 개수(Count)가 있을 것이고, 이것을 보통 '포톤'이라고 한다. 어려운 물리 광학적 용어를 뒤로하고, 루미온은 이것을 샘플(sample)이라고 한다. 샘플의 숫자가 높으면 더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수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렌더링 속도는 느려진다. 어는 정도가 적당한지는 사용자의 판단...